미국에서 한국으로 역이민 | (현실편) 30년을 외국에서 살면서 느낀 것들.. 다시 돌아가고 싶은 한국ㅣ Ep11-8 답을 믿으세요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미국에서 한국으로 역이민 – (현실편) 30년을 외국에서 살면서 느낀 것들.. 다시 돌아가고 싶은 한국ㅣ EP11-8“?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chewathai27.com/you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Chewathai27.com/you/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tvN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8,179회 및 좋아요 38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미국에서 한국으로 역이민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현실편) 30년을 외국에서 살면서 느낀 것들.. 다시 돌아가고 싶은 한국ㅣ EP11-8 – 미국에서 한국으로 역이민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어렵게 떠났다가 다시 한국으로.. 역이민의 이유
#tvN #커버스토리 (2019)
:매주 30분씩 새로운 이슈를 전하는 프로그램

미국에서 한국으로 역이민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은퇴이민 한국 역이민 – 미국 일상

본인은 시카고 지역에서 40년간 이민 생활을 해온 1.5세 이민자이다. 시카고는 미국 내에서도 재산세가 높은곳으로 은퇴 나이가 되면 많은 분들이 타주로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sundae.org

Date Published: 7/28/2021

View: 1952

왜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는거지? – 브런치

L 씨처럼 1970년대에 이민 와 개척자적 정신으로 미국에서의 삶을 일군 … 전해 미국 시민권이나 영주권을 포기하고 한국으로 영구귀국한 역이민자수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1/22/2021

View: 8880

역이민 – 나무위키

과거 이민갔던 시기보다 현재의 한국은 경제적으로 훨씬 많이 발전했고 선진국이 … 이근 –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민갔다가 가족 전체가 …

+ 여기에 보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11/14/2021

View: 9537

미국 한국 역이민 귀국 해외이사 후기 | K블로그 | 케이타운 일번가

은퇴 후 역이민 해외이사(귀국이사)를 진행하신고객님의 현대해운 이용 후기입니다.한국에서 미국으로 해외이사 뿐만 아니라미국에서 한국으로 귀국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town1st.com

Date Published: 1/21/2021

View: 1912

한국으로 다시 돌아갈까…

미국에서 살다 거주지를 다시 한국으로 옮기는 역이민 한인은 매년 2000여명 정도다. 나이가 들수록 고향을 그리워하게 되는 ‘수구초심’ 때문인지 …

+ 더 읽기

Source: m.koreatimes.com

Date Published: 3/12/2022

View: 2744

한국 역이민 2년째 미시임 한국 궁금하신거 물어보세요

솔직히 애들땜에 안가고싶은데 남편이 역이민에 대한 로망이 있어요. ㅎㅎ … 원글 아님) 저는 미국에서 14년 살다가 한국으로 돌아갔어요.

+ 여기에 표시

Source: mobile.missyusa.com

Date Published: 11/30/2021

View: 1660

Topic: 한국으로 역이민을 가려면…

한국에 거주하면서 소셜세큐리티 베네핏 제대로 받으려면 영주권자들은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더라구요.. 그리고 자녀들은 미국에서 학교다니고 직장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workingus.com

Date Published: 11/7/2021

View: 6724

한국 역이민 왜? …“말 안 통해서” – Korea Times Media – 텍사스

한국 외교부 영주귀국자 신고 현황에 따르면 2018년에 한국으로 역이민한 사람은 1,600여명에 달한다. 이들 역이민자 수를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199명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koreatimestx.com

Date Published: 2/7/2021

View: 7644

逆이민 “돌아와 거울앞에 선” 사연 – 시사저널

우리나라 전체 땅값이 미국땅 70%를 살 수 있는 정도라니까 한국의 부동산값은 세계적이다. 따라서 요즘 역이민을 오는 경우라면 대체로 해외에서 어느만큼 경제적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sisajournal.com

Date Published: 4/13/2022

View: 429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미국에서 한국으로 역이민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현실편) 30년을 외국에서 살면서 느낀 것들.. 다시 돌아가고 싶은 한국ㅣ EP11-8.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현실편) 30년을 외국에서 살면서 느낀 것들.. 다시 돌아가고 싶은 한국ㅣ EP11-8
(현실편) 30년을 외국에서 살면서 느낀 것들.. 다시 돌아가고 싶은 한국ㅣ EP11-8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미국에서 한국으로 역이민

  • Author: tvN
  • Views: 조회수 38,179회
  • Likes: 좋아요 384개
  • Date Published: 2019. 7. 2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DuQ3YoDRngM

은퇴이민 한국 역이민

Author

순대

Sundae has made every attempt to ensu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provided on this website. However, the information is provided “as is” without warranty of any kind. Sundae does not accept any responsibility or liability for the accuracy, content, completeness, legality, or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on this website.

왜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는거지?

2016-01-04 (월) 이종국 기자

▶ “정다운 곳에서 친구^친척들이랑 노후 보내고 싶다”

누가 떠났나

60대 후반인 L씨(메릴랜드 거주)는 요즘 ‘역이민’을 심각히 고려 중이다. 이번에 갈 신천지는 다름 아닌 한국이다. 그는 1970년대 중반 이민 와 가게를 운영하다 몇 해 전 은퇴했다. 40년을 살아온 미국을 떠나려는 그는 “나이가 드니 아이들도 다 떠나 살고 굳이 미국에 살 필요가 없어졌다”며 “정다운 산하와 일가친척, 친구들이 있는 모국에서 노후를 보내고 싶다”고 그 이유를 밝혔다.

L 씨처럼 1970년대에 이민 와 개척자적 정신으로 미국에서의 삶을 일군 한인들이 이민 가방을 다시 꺼내들고 있다.

이 같은 한국으로의 역이민 추세는 2010년대 들어 가팔라지고 있다. 워싱턴 지역의 한인사회에서 활동한 인사들 중에만 벌써 20여명이 은퇴 후 한국으로 새 삶을 찾아 떠났다.

페닌슐라 한인회장을 역임한 고근필 씨는 고향인 제주도에서, 흥사단 회장을 지낸 이광표 전 회장도 강원도 춘천에서 여생을 보내고 있다. 수도권메릴랜드한인회장을 지낸 신근교 씨, 김영근 전 워싱턴한인연합회장, 김명찬 버지니아한인상공회의소 회장, 주간지를 운영했던 구명회 씨, 골프 티칭 프로였던 한근상 씨와 정요셉 씨, 보림사 신도회장을 지낸 이우택 씨, 재야 사학자인 방선주 씨 등이 대표적인 역이민 결행자들이다.

워싱턴지역 한인 연 200명 영주권 등 포기하고 떠나

노령화에 따른 귀소본능

한국 경제 발전-혜택 증가

소셜연금 수령 가능등 이유

왔다갔다 장기체류형과

은퇴후 영구 귀국형으로 분류

“경제적 여유 있어야 가능”

정착 준비

현재 심각하게 역이민을 고민 중이거나 준비 중인 한인들도 적지 않다. 70대인 K 씨(버지니아)는 경남의 한 해안도시에 아파트를 구할 작정이다.

70년대 초반에 이민 온 K 씨는 “자식들도 다 떠나고 늙은 부부가 쓸쓸하게 집만 지키고 살기 보다는 가까운 사람들도 만나며 보다 여유롭게 노후를 보내고 싶다”며 “한국에서 주로 살다가 가끔 미국에 자식들을 만나러 올 생각으로 바다 근처 풍광 좋은 아파트를 구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60대로 은퇴를 앞둔 또 다른 K 씨(버지니아)는 얼마 전 부인을 먼저 한국으로 보냈다. 현지 정착 준비를 위해서다. 그는 “이제 은퇴를 하는데다 미국에 더 이상 눌러 살 이유가 없어 한국행을 하기로 아내와 결심했다”며 “아무리 모국이지만 수십 년을 떠나온 곳이기에 미리 아내가 가서 정착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처럼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지만 역이민을 한 워싱턴 한인들은 더 많다. 워싱턴한인연합회 임소정 회장은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주변의 사정을 종합해보면 1년에 적어도 수백 명의 워싱턴 지역 한인들이 한국으로 역이민을 가는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미국서 연 2천명 한국행

2014년 한국 외교부 통계에 따르면 전해 미국 시민권이나 영주권을 포기하고 한국으로 영구귀국한 역이민자수는 1,87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9년 이후 5년래 가장 적은 수치이다.

미주 한인들의 역이민 행렬은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2000년 2,612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며 2007년 1,576명, 2009년 2,058명, 2011년에는 2,128명으로 나타났다.

해마다 2천명 안팎의 재미 한인들이 역이민을 하고 있으며 미국 내 한인 인구 비례를 감안하면 연 200명가량의 워싱턴 지역 한인들이 모국으로 역이민을 가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 같은 역이민 현상은 70년대 이민 온 한인들의 노령화와 이에 따른 귀소 본능, 한국의 경제발전과 재외동포들에 대한 각종 혜택 증가, 한국에서도 미국 소셜 연금 수령 가능 등의 사유가 꼽힌다. 또 미국 내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어려워진 경제적 상황도 한인들의 유턴 행렬을 부추기는 것으로 분석된다.

얼마 전 한국으로 떠난 메릴랜드의 70대 L 씨는 “젊을 때는 돈 벌고 자식 키우느라 정신없었는데 나이가 드니 같이 어울릴 사람도 별로 없다”면서 “요즘 한국은 건강보험이나 의료 시스템도 잘 돼 있고 노인들에 대한 여러 혜택도 많아 살기 편해진 만큼 한국에서 소셜 연금을 받으며 친지들과 정을 나누며 살고 싶다”고 역이민을 결심한 심경을 토로했다.

신중하게 선택해야

역이민자들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은퇴 후에 영주 귀국하는 케이스와 한국과 미국을 번갈아 가며 사는 장기체류 유형이다.

영주 귀국자들은 재산을 처분해서 아예 한국으로 들어가 눌러 앉아 살고 있다. 반면에 장기체류자들은 일 년 중 대부분을 한국에서 보내고 미국에는 잠시 들러 자식들도 만나고 남겨둔 재산이나 세금 등을 처리하며 산다.

이들 대다수는 한국에서 다른 경제적 활동은 하지 않고 미국에서 번 돈으로 여생을 보내는 케이스다. 그러나 젊은 역이민자들은 대다수가 생업을 갖고 일을 하고 있다.

역이민을 선택한 한인들은 대부분 “역이민은 또 다른 이민”이라며 신중하게 결행할 것을 주문한다.

3년 전 한국으로 돌아간 K 씨는 “돈 없는 사람은 친구나 친지들 사이에서도 냉대 받는 곳이 한국 실정이며 미국에서 재산을 몽땅 정리해도 한국에서는 아파트 하나 사기 힘들다”며 “경제적인 여유가 없으면 한국에서 여생을 보내려는 계획을 포기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또 철저한 준비 없이 막연하게 고국행을 했다가는 낭패를 겪을 수 있다고 한다. 한국생활이 편리한 건 많지만 미국에 두고 온 자식들 문제와 몸에 밴 미국생활 등 여러 어려움에 봉착한다는 것이다.

5년 전 한국행을 한 C 씨는 “어디에서 누구와 어떻게 살 것인지를 잘 살펴보고, 그 전에 적어도 한국에 나가서 6개월은 살아보는 게 실제 적응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자기의 형편을 잘 살펴보고 그에 맞는 결정과 행동을 하라고 권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종국 기자>

미국 한국 역이민 귀국 해외이사 후기

미국에서 스몰비지니스를 30년 넘게 하다가

최근에 비지니스를 팔고 은퇴를 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에 와서 억척스럽게 하루 하루를 보내다 보니

아이들 모두 키우고 은퇴 후 늘어난 개인 시간이 좋았는데

시간이 흐를 수록 너무 무료하고 답답했습니다.

그러다가 와이프와 한국에서 생활해 보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대화를 나누게 되었고

와이프도 그러는 것이 좋겠다가 하여 고심 끝에 한국행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오랜시간 미국에서 생활을 했다보니 미국 생활을 정리하는 것도 만만치가 않았습니다.

일단 가지고 있던 차량을 팔고

더 이상 필요없는 개인 물건들을 하나둘씩 판매도 하고

아는 사람에게 나눠도 주었습니다.

그렇게 정리를 한 후에도 물건들이 많이 남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가져가야 할지 방법을 찾아보다가

해외이사를 통해 쉽게 가져갈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최근 한국에서 이곳으로 오신 교회분을 통해 현대해운을 소개받게 되었습니다.

소개받은 현대해운과 관련해 개인적으로 알아보니

가장 크고 믿을 수 있는 회사라는 것을 확인하여

현대해운에 전화를 걸어 상담을 진행했습니다.

상담해 주시는 분께서 저처럼 은퇴 후 역이민을 계획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를 자세히 알려주시고

또 운송 절차나 과정 등도 너무 상세히 그리고 친절하게 상담해 주셨습니다.

상담 후 현대해운이 너무 마음에 들어 크게 고민없이

현대해운과 해외이사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사하기로 한 날짜에 현대해운 분들이 오셔서

제 짐을 모두 포장해 주시고 가지고 가셨습니다.

이사 시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염려했는데 전문가분들이라 그런지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사를 진행해 주셨습니다.

최근 코로나로 인해 운송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알고 있었는데

코로나 상황에서도 빠르게 제 짐을 한국 항구까지 도착하게 해주셨고

도착한 화물을 신속히 통관해 주셨습니다.

그리고 제가 원하는 날짜에 맞춰서 저희 한국 집으로 배송해 주셨습니다.

모든 물품 안전하고 빠르게 저희 한국 집까지 잘 배송해 주신

현대해운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

은퇴 후 역이민 해외이사(귀국이사)를 진행하신

고객님의 현대해운 이용 후기입니다.

한국에서 미국으로 해외이사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 한국으로 귀국하는 귀국이사도

현대해운 법인 직영으로 진행할 수 있는데요.

현대해운 미국법인은 미국 서부 LA에 위치해 있으며

한국 본사에서 파견된 직원 및 현지 직원이 함께 상주해

전문적인 미국 해외이사, 귀국이사는 물론

차량운송, 국제택배, 타주이사도 선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한국으로 귀국하는 귀국 해외이사는

현대해운 홈페이지 귀국이사 또는

미국 LA 법인에 문의 가능합니다~

310-763-0001

www.cyhds.com

Topic: 한국으로 역이민을 가려면…

Search

No search term specified. Showing recent items. Search or use up and down arrow keys to select an item.

한국 역이민 왜? …“말 안 통해서”

두번째 이유는 “높은 의료비’

한국 외교부 영주귀국자 신고 현황에 따르면 2018년에 한국으로 역이민한 사람은 1,600여명에 달한다.

이들 역이민자 수를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19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중남미(164명), 캐나다(111명), 뉴질랜드(22명), 기타(1,137명) 순이었다.

반면 지난해 한국에서 해외로 나가는 이민자 수는 6,257명으로 이 중 미국행이 50.8%로 가장 많았다.

아직도 한국에서 해외로 나가는 이민자 수가 역이민자보다 많지만 앞으로는 양측 모두 비슷한 균형을 이룰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 의견이다.

그렇다면 미국에서 살다 한국으로 역이민을 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 역이민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한 한인들은 한결같이 ‘언어소통’을 이유로 들었다.

아이들 교육 때문에 미국에 왔다는 가정주부 미셀 정(54세)씨는 “10년 전 두 명의 아이들 교육을 위해 샌디에고로 이민을 왔다. 그런데 이제는 아이들이 성인이 됐고 제 앞가림을 하고 있다”며 “10년 가까이 샌디에고에 살면서 영화를 볼 때도, DMV나 마켓에 가서도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 답답할 때가 한 두 번이 아니었다. 이제는 말이 통하는 한국에 가서 남은 삶을 살고 싶다”며 역이민 이유를 설명했다.

올해 72세의 한인 앤디 김 씨도 같은 이유로 역이민을 준비하고 있다.

김 씨는 “나이가 들다보니 아픈 곳이 많이 생겨 병원에 자주 간다. 그런데 병원 의사하고 상담을 할 때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 주변에 영어를 곧잘 하는 사람한테 같이 가달라고 통사정을 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라며 “형편이 되는 대로 준비를 해서 한국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역이민 하려고 하는 또 다른 이유는 높은 의료비와 병원 절차 때문이다.

미국의 높은 의료비와 늦장 처리되는 행정절차는 최악의 수준이다.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원 교수를 겸한 파파니콜라스 교수 팀은 캐나다, 독일, 호주, 일본 등 고소득 10개국의 2013~2016년도의 데이터를 미국과 비교 분석, 발표한 작년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미국은 국내총생산(GDP)의 17.8%가 보건의료비다, 비교 대상 나라들은 가장 낮은 호주가 9.6%, 제일 높은 스위스도 12.4%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대수명은 이들 나라보다 짧다, 영아사망률은 신생아 1천 명당 5.8명으로 비교대상국 평균(3.6명)보다 훨씬 높고 최악이다.

앤디 김 씨는 “병원을 자주 다녀야 하는 저로서는 미국의 높은 의료비 역시 부담입니다, 물론 오바마케어가 있어 도움이 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한국보다 부담스러운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의료 서비스도 한국이 훨씬 낫다”며 “선진국이라는 미국에서 병원 응급실에 갔는데 대기 시간이 4시간이나 걸리는 게 말이 되냐”고 반문했다.

그리고 베이비부머 세대에 속하는 한인 이민 1세들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조국에 대한 향수가 못내 그립다.

올해 56세의 스테판 이 씨는 “한국에서 학교를 마치고 사회생활을 하다 이민을 와서 그런지 요새 부쩍 한국에 있는 친구나 가족, 그리고 예전에 자주 갔던 곳들이 그립다”며 “여건이 허락한다면 한국으로 살고 싶다”고 밝혔다.

<이태용 기자>

逆이민 “돌아와 거울앞에 선” 사연

글씨키우기 글씨줄이기 프린트 top

facebook twitter kakao story naver band share

‘몸 異國 마음 故國’ 청산 10년새 6배…“한국도 이젠 살기 좋아”

11월 마지막 목요일은 미국인들의 최대 명절인 추수감사절. 서울 사람에겐 아무런 의미도 없는 이날 뉴욕에서 오래 살다가 최근 몇년 사이 귀국해 정착한 7,8명의 ‘전 재미교포’들은 지난 시절 향수를 잊지 못해 강남의 한 음식점에 모였다. 역시 뉴욕 교포 출신인 음식점 ‘한국촌’주인 김세레피나(50)씨는 ‘칠면조구이’를 장만하려고 백방으로 수소문했으나 끝내 구하지 못했다. 김씨는 옛 친구들의 기분을 살려주려고 ‘닭구이’를 내놓았다.

이들은 뉴욕의 명물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에서 딴 이른 바 ‘엠파이어 클럽’이란 친목모임 멤버로 매달 한번씩 6개월째 모이고 있다. 뉴욕한인회이사장ㆍ대뉴욕실업인협회장ㆍ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뉴욕지부장…, 한때는 뉴욕 한인사회에서 꽤나 활발하게 일했을 사람들이다. 고향을 떠나 20년 넘게 살다 고국을 잊지 못해 돌아온 초로의 남자들이 이제는 또 뉴욕을 잊지 못하고 산다. 이민이란 바람결을 타고 이국땅에 갔다가 눈물겨운 고생 끝에 생활기반을 잡은 사람들. 그 ‘생활의 터’를 포기하고 고국을 택한 이들 역이민자들은 최근에 겪는 늦고생 이야기를 신바람나게 털어놓고 있었다.

서울올림픽을 전후해 급격히 늘기 시작한 역이민 현상은 90년대 들어와서도 여전하다. 외무부 해외이주과 자료에 따르면 80년~90년 10년간 영주귀국자는 모두 3만3천여명, 금년 한 해만도 10월말 현재 5천8백37명에 이른다. 역이민 연도별 추세를 보면 80년에 1천49명이던 것이 85년 2천2백90명, 87년 3천3백1명, 88년 4천7백34명, 89년 6천6백85명, 90년 6천4백49명으로 나타났는데(별표 참조) 미국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그 다음 남미ㆍ캐나다 순이다.

이에 비해 해외이민은 점차 감소추세를 보여 80년 3만3천3백58명에서 85년 2만7천7백93명, 90년 2만3천3백14명이다. 해외이주 대비 역이민 현황은 80년 초에는 4%, 중반에 7%이던 것이 하반에 들어선 20%나 된다.

이처럼 나라 밖으로 나가려는 사람은 줄고 이민간 사람들이 되돌아오는 역이민이 부쩍 는 이유는 여러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해외생활 부적응ㆍ국내취업ㆍ자녀교육문제 등 다양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국내의 정치ㆍ경제적 상황이 좋아지면서 상대적으로 해외생활에 대한 매력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관계자들은 말한다. 서울대 李光奎교수(인류학)는 “60,70년대 떠났던 사람들에게 국내에서도 돈 벌 기회가 많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고국정착을 택하는 것 같다”고 말한다. 또한 해외동포들이 현지에서 생활안정을 이루면서 이민 초기엔 잘 몰랐던 사회ㆍ문화적 갈등을 심각하게 느껴 돌아오는 일도 많다는 것이다. 크게는 세계가 탈냉전시대로 변화하면서 한반도에서의 전쟁위협이 그만큼 줄었다는 판단에 따라 돌아오는 이들도 있다.

이구홍 해외교포문제연구소장은 역이민현상을 동양인 특유의 강한 귀소본능으로 풀이한다. 1백만 이상의 재미교포는 미국에 살면서도 차기 미국대통령이 누가 될것인가보다는 ‘한국의 민주화’에 큰 관심을 쏟고 산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중국 화교들이 본토와 가까운 인천에 모여산다든가, 한인교포들이 로스앤젤레스에 대거 밀집해 사는 것도 바로 “여차하면 돌아가겠다”는 귀소의식의 발로가 아니겠느냐 하는 것이다. 80년 이후 영주귀국자는 이제 4만명에 육박한다. 해외영주권을 포기하지 않은 채 거주하는 이들도 상당하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실제 귀국자는 그보다 훨씬 많을 것이다.

귀소 본능 ㆍ현지 부적응ㆍ한국 발전이 원인

과거를 털어내지 못한 채 몸 따로 마음 따로 살아오다 돌아온 역이민자들. 이들은 과연 기대했던 만큼 고국에서 만족하며 살고 있을까. 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부분 고국의 현실이 상상하던 것 같지는 않아도 객지생활의 비애를 맛본 때문인지 진지하고 겸허하게 재정착의 길을 닦고 있는 것 같다.

미국생활 17년, 뉴욕에서 11년간 국민학교 교사로 지내던 변영애씨(43)는 귀국한 지 1년째다. 한때 그가 자랑스럽게 여겼다는 미국시민권을 포기하고 주민등록증을 받아 쥔 것이 바로 지난 달. 그동안 귀국해서 얻은 것이 무엇이냐고 묻자 대뜸 “체중 10kg”이라며 웃음을 터뜨린다. 워낙 약골인데다가 긴장의 연속으로 돌아오기 바로 직전에 손가락을 못들정도로 크게 앓았다고 한다. 그녀는 뚜렷한 목적을 갖고 미국에 갔다가 자신의 목적대로 잘 살던 사람이다. 그러던 그가 어느날 홀연히 모든 걸 버리고 떠나려 하자 주변 사람들이 대단히 충격적으로 받아들이더라고 했다. 그가 돌아오자 서울의 친구들도 퍽 놀라워했다. 돌아온 이유는 “미국에서 지낸 17년 동안 스타킹 한번 안사게 한 어머니에 대한 애착 때문”이라고 말한다.

변씨는 미국에서 따낸 학위ㆍ경력을 모두 묻어버리고 원하던 집필생활에 전념할 수 있게 된 지금 여건을 매우 행복하게 생각한다고 했다. 귀국 직후 내놓은 교육컬럼집《고독해보는 것도 공부다》란 책에서 그는 자신의 심경을 이렇게 털어놓았다. “남의 것이 내 것보다 좋다는 생각을 갖고 수십년을 살았다. 이러한 생각은 나를 미국유학의 길로 인도하였고, 다행인지 미국에 도착해 내가 하고 싶은 공부를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미국의 국민학교 교사가 되어 10년이 넘게 미국에 이민 온 한국학생들을 가르쳤다. 그런데 미국에 살면서 내 것보다 남의 것이 좋다는 생각은 오류였음을 차츰 알게 되었다. 이렇게 되기까지 20여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정말 긴 방황 끝에 나는 자신에게 돌아왔다….” 변씨는 실망할지언정 돌아올 곳이 있다는 게 얼마나 좋으냐며 마냥 행복한 표정이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4년간 살다온 이윤수(43)ㆍ노경복(39) 씨 부부. 8년 전 대기업 중견사원이었던 이씨는 판에 박힌 직장생활에 회의가 생길 즈음 “한달 일하면 일년치 먹을 것을 벌 수 있다”는 이민 브로커의 말에 솔깃해 아르헨티나행 비행기를 탔다. 그곳에 가 야채가게ㆍ봉제공장 등을 운영하며 먹고 살 만해지자 유독 친구를 좋아한 이씨는 이국생활을 못견뎌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2년 전 잠시 서울에 들렀을 때 주변에서 눌러앉으라고 끈질기게 권유하더라는 것이다. 이씨 가족은 돌아가 주저없이 보따리를 싸들고 나와버렸다. 부인 노씨는 “이민생활은 우리에겐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었다”면서 새로 생활기반을 닦는 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음을 토로한다. 이민 갈 당시 8천만원에 판 강남의 35평짜리 아파트가 귀국해보니 세 곱절이나 올라버렸더라는 것이다. 노씨는 “그래도 무엇이든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갖게 된 게 소득”이라며 웃는다.

80년대 한국의 경제발전은 해외교포들을 귀국하게 만드는 주된 사유임엔 분명하나, 최근 몇년 사이에 천정부지로 치솟은 집값과 물가는 그들에게 엄청난 부담을 안겨주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나라 전체 땅값이 미국땅 70%를 살 수 있는 정도라니까 한국의 부동산값은 세계적이다. 따라서 요즘 역이민을 오는 경우라면 대체로 해외에서 어느만큼 경제적 여유를 쌓았거나 국내에 경제적 기반을 두고 있는 사람, 아니면 국내에 생활보장이 되는 직장을 마련한 사람들이다.

북미지역에서 상당한 경제적 기반을 이룬 교포 중 영주귀국하는 사람들은 몇년째 계속되는 미국의 심한 불황으로부터 벗어나려고, 또 일부 흑인과의 갈등에 한계를 느낀 경우가 많다. 19년간의 이민생활을 청산하고 작년 8월 귀국해 부산에서 사업을 시작한 임영섭씨(47)는 “미국은 밑바닥에서 고생할 때는 관대한 나라지만 사업을 크게 확장하면 제동을 거는 곳”이라며 고개를 젓는다. 흑인 강도가 이마에 총을 들이대는 순간을 여러 번 겪었다는 임씨는 나이가 들면서 두려움도 커지고 생활에 지쳤다고 말한다. 이제 내나라에 오니 마음가짐도 느긋해지고 너무 편하다는 것이다. 언어가 통하지 못한다는 아주 중요하고도 커다란 이유 때문에 그 사회에서 주류에 합류하지 못했던 소외감을 해소하는 데 귀향은 최고의 약이라며 좋아한다.

돌아와도 사회ㆍ문화적 갈등 많아

자신의 선택으로 고국에 다시 돌아왔다고 하더라도 모든 게 다 만족스러운 것만은 아니다. 오랜 외국생활에 젖어온 관습 때문에 이곳에서도 사회ㆍ문화적 갈등을 피할 수 없다. 변영애씨의 경우 이기주의로 뭉친 여고동창들의 생활태도에 아주 비판적이다. 가정적으로 문제가 있는 친구들을 같은 그룹에 끼워주지 않고 그저 비슷한 계층끼리 모이는 포용력 부재를 안타까워한다. 귀국 직후 전화를 걸어온 한 친구의 첫마디는 “몇평짜리 아파트에 사느냐”는 것이었다. 69년 미국에 갔다가 금년 5월 영주귀국한 이석규씨(54)는 성공의 평가를 돈과 권력으로 가늠하는 이곳의 풍토가 답답하다고 했다.

한때는 선망의 눈길 속에서 이민길에 올랐던 사람들. 그들은 급격히 변화한 한국의 모습에 무척 당황해 하고 있다. 때로는 해외에 살았던 사실을 숨겨야 할 만큼 배타적인 분위기 탓에 멈칫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이민생활에서 얻은 정신력과 자신감은 그들에게 큰 버팀목이 되고 있다. 15년 만에 미국에서 돌아와 활발히 활동하는 피아니스트 김준차씨(45)는 “이곳에 자리잡거나 사는 데 있어선 15년이 아주 긴 시간이었다. 그러나 삶과 예술에 대한 탈바꿈을 할 수 있었다는 면에선 아주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말한다.

수년째 계속되는 역이민 현상은 일단 정서적측면에선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국토가 좁고 인구는 많은 우리나라 같은 상황에서 적정수의 해외이민은 권장해야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정부는 흔들리고 있는 이민정책을 전면 재검토해 해외교포들이 현지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장기적이고 효율적인 이민지원책을 펼쳐나가야 한다는 소리가 높다. 이광규교수는 “도양인들은 귀소본능이 강하므로 일본ㆍ중국 같은 경우는 해외교포를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가 잘 되어 있다. 그에 비해 우리는 이민을 갈 때도 올 때도 아무런 지원책이 없다”면서 지금부터라도 해외로 나가는 사람들을 계몽하고 재정지원을 해주는 적극적인 이민정책을 펼쳐나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교수는 최근의 한ㆍ흑 간 갈등은 우리가 흑인문화를 너무 몰라 일어날 한 예라고 꼬집는다.

60년초부터 이민을 장려해온 정부는 계속 국민들의 해외이주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현재 우리에게 공식적으로 이민 문호를 개방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아르헨티나 등, 지난달 통과된 개정 해외이주법은 지금까지 해오던 해외이주자에 대한 적격심사제를 신고제로 바꾸는 등 이민수속절차를 간소화하여 이민의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어느만큼 실효를 거둘 것인가는 관계자들도 회의적이다. 더구나 역이민 대책에 대해선 아무도 생각지 않고 있다. 일본의 경우 역이민이 늘어날 즈음 외무성산하에 국제협력사업단을 만들어 해외교포를 돕는 협력체제를 만드는 기민성을 발휘했다. 외무부 해외이주과 주중철 사무관은 일본 같은 교민지원정책은 우리의 한정된 재원으로는 힘든 상황이라고 말한다.

이구홍 소장은 이민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강조한다. 사전 지식 없이 떠나는 것도 문제이고 단 몇년 만에 일확천금한 것이 이민의 대성공 사례인양 떠들어대는 언론보도 태도도 시정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민이란 ‘형극의 길’이어서 1세때 씨를 뿌리고, 2세때 가꾸어 3세때 꽃피우는 식의 긴 안목으로 내다봐야 한다고 그는 강조한다.

구한말의 유민, 일제 치하의 강제징용과 망명, 60년대 이후 나타난 인력수출붐 등 시대상황에 따라 숱한 곡절을 겪으며 오늘날 5대양 6대주에 뿌리내린 해외동포는 5백만명에 이른다. 남북한 6천4백만의 8%에 가까운 교포들이 해외에 산다. 인구 10억인 중국의 화교가 1천8백만~2천만, 1억2천만인 일본의 해외교포가 1백74만이니 이스라엘을 제외하고는 우리의 해외교포는 인구당 최고의 비율이라는 게 이소장의 주장이다. 그는 해외교포를 마치 이 땅을 등진 사람으로 몰아붙이는 좁은 소견에서 벗어나 그들이야말로 우리의 훌륭한 자산이며 민족의 성원이란 인식전환이 요구된다고 거듭 강조한다.

어쨌든 정착 귀국하려는 해외교포들은 당분간 줄지 않을 것 같다. 지난 9월 서울서 열린 한민족체전에 참가한 해외교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64.1%가 가능하다면 돌아와 고국에서 살고 싶다고 응답했다.

이민이 시대적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시대적 변화에 따라 돌아오는 것은 당연한 귀결일는지 모른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온 영주귀국자들이 대체로 해외에서 여유있게 살던 사람들이란 사실은 눈여겨 볼 만한 일이다. 다시 돌아와 정착하는 것이 만만치 않은게 고국의 현실이다. 고향은 반드시 금의환향하는 곳만은 아닐 것이다. 타향을 정처없이 떠돌다 돌아오는 어머니 품 같은 곳이 고향일진대 지금의 고국은 정말로 타국 땅에서 방황하며 어렵게 지내는 이민자들을 품어주기엔 너무 거리가 먼 곳 같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에 대한 정보 미국에서 한국으로 역이민

다음은 Bing에서 미국에서 한국으로 역이민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현실편) 30년을 외국에서 살면서 느낀 것들.. 다시 돌아가고 싶은 한국ㅣ EP11-8

  • 커버스토리
  • 이민
  • 역이민
  • 탈조선
  • 캐나다
  • 호주
  • 미국
  • 유럽
  • 해외취업

(현실편) #30년을 #외국에서 #살면서 #느낀 #것들.. #다시 #돌아가고 #싶은 #한국ㅣ #EP11-8


YouTube에서 미국에서 한국으로 역이민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실편) 30년을 외국에서 살면서 느낀 것들.. 다시 돌아가고 싶은 한국ㅣ EP11-8 | 미국에서 한국으로 역이민,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