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48 히브리어 모음 The 35 Correct Answer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히브리어 모음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Chewathai27.com/to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히브리어 모음 성경 히브리어 모음, 히브리어 자음 모음, 히브리어 알파벳 모음, 히브리어 단어, 히브리어 읽는 법


[New_히브리어 문법02] 2과 히브리어 모음
[New_히브리어 문법02] 2과 히브리어 모음


2. 히브리어 모음 표기법으로 히브리어 읽기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22026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2. 히브리어 모음 표기법으로 히브리어 읽기 : 네이버 블로그 그런(‘י ו ה)헤, 바브, 요드 이 세 단어는 자음으로만 쓰였을 뿐만 아니라 모음으로도 쓰였다. 그래서 히브리어 텍스트를 읽어 나갈때 어떤 모음을 부여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2. 히브리어 모음 표기법으로 히브리어 읽기 : 네이버 블로그 그런(‘י ו ה)헤, 바브, 요드 이 세 단어는 자음으로만 쓰였을 뿐만 아니라 모음으로도 쓰였다. 그래서 히브리어 텍스트를 읽어 나갈때 어떤 모음을 부여 …
  •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진리 그것이 알고 싶다

이 블로그 
히브리어바로알기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히브리어바로알기
 카테고리 글

2. 히브리어 모음 표기법으로 히브리어 읽기 : 네이버 블로그
2. 히브리어 모음 표기법으로 히브리어 읽기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히브리어 한 잔 ☕] 히브리어 모음 | A Cup of Hebrew

  • Article author: www.julshebrew.com
  • Reviews from users: 7715 ⭐ Ratings
  • Top rated: 4.7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히브리어 한 잔 ☕] 히브리어 모음 | A Cup of Hebrew 성서 히브리어에는 ‘아, 애, 이, 오, 우’의 길고 짧은 음을 나타내는 다양한 모음 표기(예: 장모음, 미모음 등)가 있지만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대충 5가지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히브리어 한 잔 ☕] 히브리어 모음 | A Cup of Hebrew 성서 히브리어에는 ‘아, 애, 이, 오, 우’의 길고 짧은 음을 나타내는 다양한 모음 표기(예: 장모음, 미모음 등)가 있지만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대충 5가지 … …
  • Table of Contents:
[히브리어 한 잔 ☕] 히브리어 모음 | A Cup of Hebrew
[히브리어 한 잔 ☕] 히브리어 모음 | A Cup of Hebrew

Read More

히브리어 기초 – 모음 #03

  • Article author: shalomvil.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35852 ⭐ Ratings
  • Top rated: 3.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히브리어 기초 – 모음 #03 1. BC 10세기경의 히브리어는 ּ알파벳만을 가지고 쓰여졌습니다. 다시 말하면 모음기호가 없었습니다. 자음으로만 이루어진 글자였죠. 당연히(?) 자음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히브리어 기초 – 모음 #03 1. BC 10세기경의 히브리어는 ּ알파벳만을 가지고 쓰여졌습니다. 다시 말하면 모음기호가 없었습니다. 자음으로만 이루어진 글자였죠. 당연히(?) 자음 … 오늘 살펴볼 히브리어 기초는 히브리어 모임입니다. * 히브리어 모음은 크게 2가지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1) 이미 2번에 걸쳐서 알파벳을 소개했는데요. 이 알파벳들 중에 모음으로 활용되는 글자들이 있습니다. 2..
  • Table of Contents:

오늘 살펴볼 히브리어 기초는 히브리어 모임입니다

태그

관련글

댓글2

공지사항

최근글

인기글

최근댓글

태그

전체 방문자

티스토리툴바

히브리어 기초 - 모음 #03
히브리어 기초 – 모음 #03

Read More

솔라 스크립투라(sola scriptura)

  • Article author: blog.daum.net
  • Reviews from users: 13583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솔라 스크립투라(sola scriptura) 히브리어 알파벳과 히브리어 모음표기법 … 자음에 점이 찍히는 것이 [다게쉬]인데, 이것이 중복인지 아닌지의 구분의 문제. a. 일단 자음에 점이 찍히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솔라 스크립투라(sola scriptura) 히브리어 알파벳과 히브리어 모음표기법 … 자음에 점이 찍히는 것이 [다게쉬]인데, 이것이 중복인지 아닌지의 구분의 문제. a. 일단 자음에 점이 찍히면 … [다게쉬]에 대한 것 자음에 점이 찍히는 것이 [다게쉬]인데, 이것이 중복인지 아닌지의 구분의 문제. a. 일단 자음에 점이 찍히면 이는 중복이다. 단!! 베가드케파트 6 자음만 주의하면 된다. 위의 6가지 자음이..언약신학과 생명신학적 성경해석솔라 스크립투라(sola scriptura)
  • Table of Contents:
솔라 스크립투라(sola scriptura)
솔라 스크립투라(sola scriptura)

Read More

성경 히브리어 기초문법 연상으로 평생 써먹자: 연상 기억으로 평생 써먹는 히브리어 – 이재하 – Google Sách

  • Article author: books.google.com.vn
  • Reviews from users: 44211 ⭐ Ratings
  • Top rated: 3.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성경 히브리어 기초문법 연상으로 평생 써먹자: 연상 기억으로 평생 써먹는 히브리어 – 이재하 – Google Sách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성경 히브리어 기초문법 연상으로 평생 써먹자: 연상 기억으로 평생 써먹는 히브리어 – 이재하 – Google Sách Updating 성경 히브리어 첫 단계인 히브리어 자음과 모음, 강동사, 여러 문법 요소들을 연상 기억법으로 평생 잊지 않게 합니다. 설교 준비하다가 히브리어 단어와 분해된 문법 요소를 스스로 적용하면서, 재밌게 히브리어 원어 성경을 읽을 수 있습니다.
  • Table of Contents:
성경 히브리어 기초문법 연상으로 평생 써먹자: 연상 기억으로 평생 써먹는 히브리어 - 이재하 - Google Sách
성경 히브리어 기초문법 연상으로 평생 써먹자: 연상 기억으로 평생 써먹는 히브리어 – 이재하 – Google Sách

Read More

한글 타이포그래피 – 송성재 – Google Sách

  • Article author: books.google.com.vn
  • Reviews from users: 44651 ⭐ Ratings
  • Top rated: 3.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한글 타이포그래피 – 송성재 – Google Sách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한글 타이포그래피 – 송성재 – Google Sách Updating  200자 요약한글을 읽는 환경과 그 효율성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들은 흔치 않다. 교육과 논의가 주로 맞춤법, 어법에 국한하고 글자의 형태에 큰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단편적으로나마 눈에 보이는 외양의 이야기를 통해 언어의 다른 축이 가진 디테일과 어법을 확인하는 것은 현대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서 결코 가벼운 일이 아니다.차례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글꼴의 기원한글 꼴의 변천 한글 꼴과 쓰기 문제 서체와 아이덴티티 한글 운용의 한계와 가능성 글자의 내부 공간−모음의 영역 탈네모 틀 한글 꼴의 가독성 1탈네모 틀 한글 꼴의 가독성 2공공디자인−간판의 가독성 
  • Table of Contents:
한글 타이포그래피 - 송성재 - Google Sách
한글 타이포그래피 – 송성재 – Google Sách

Read More

히브리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Article author: ko.wikipedia.org
  • Reviews from users: 44620 ⭐ Ratings
  • Top rated: 3.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히브리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히브리 문자는 아랍 문자와 비슷하게, 문장을 쓸 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자음을 나타내는 표기는 반드시 존재하나,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는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히브리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히브리 문자는 아랍 문자와 비슷하게, 문장을 쓸 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자음을 나타내는 표기는 반드시 존재하나,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는 …
  • Table of Contents:

히브리어의 뜻과 유래[원본 편집]

현대 히브리어의 음운 체계[원본 편집]

히브리어의 문자[원본 편집]

히브리어 모음[원본 편집]

각주[원본 편집]

외부 링크[원본 편집]

히브리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히브리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Chewathai27.com/to/blog.

2. 히브리어 모음 표기법으로 히브리어 읽기

2. 히브리어 모음 표기법으로 히브리어 읽기

히브리어는 원래부터는 모음이 없었다. 즉 자음으로만 구성되었고 모음이 없으면 읽을 수

없었다. 그래서 읽기 쉽게 모음을 붙여서 읽었다. 그런데 모음을 붙여서 읽게 되면서 원래 가지고 있던 뜻이

사라져 버린 것이다. 정말 중요한 말이 아닐 수 없다.

그런(‘י ו ה)헤, 바브, 요드 이 세 단어는 자음으로만 쓰였을 뿐만 아니라 모음으로도 쓰였다.

그래서 히브리어 텍스트를 읽어 나갈때 어떤 모음을 부여해서 읽을 것인가 하는 안내자 역활을 해 주는

단어이기도 하다. 그래서 마트레스 렉스뉴닉스 (영어로는 머덜스 오브 리딩 mothers of reading)로

‘읽기의 어머니다’라는 별명이 있다.

그래서 원래 히브리어는 모음이 없었고, 자음을 읽기 위해 이스라엘 사람들이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자음에 모음을 부여해서 글 읽기를 해왔다. 그러니까 모음부호의 도움이 없이 원래는 구전으로 전해 오다가

후손들이 성경을 멀리하는 듯? 하여 모음을 붙여 전파하기 시작하였는데…그게 사실 오역과 왜곡을

낳았던 것이다. 모세가 시내산에서 돌판이 깨어지는 사건은 하나님께서 “그거 아냐”라고 하는

것과 같은 말씀이다. 지금 여기서 성경의 오역과 왜곡을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먼저 알아 두는 것도

나쁘지 않다.

갈릴리에 있던 맛소라 학파의 서기관들이 AD 6세기~10경 모음부호를 만들어 낸다. 전통적인? 글읽기

방식을 보존하자는 것이다. 즉 알파벳에 선과 점을 찍어 모음을 표시하는 표기법이다.

그리고 발성기관의 형태에 따라 분류가 된 것이다.

영어 ‘a e i o u’ 헬라어 역시 ‘a e i o u’ 한글도 ‘아 에 이 오 우’ 글자는 거의 만국공통어이다.

히브리어는 소리의 길이에 따라 ‘(역사적 장모음)장모음, 단모음, 반모음’ 세가지로 구분이 된다.

‘ a e i o u’ 영어발음 위에 역사적 장모음, 장모음, 단모음, 반모음 위에 ‘Λ ㅡ ν’ 이런 표시가

있다. 그대로 장, 단, 반모음으로 길고 짧게 소리내면 된다.

‘□ ‘칸 안에 영어발음 음가를 넣어서 장모음은 길게, 단모음은 짧게, 반모음은 더 짧게 읽어 주면 된다.

א(알렙), ב(베이트), ג(기멜), ד(달렛), ה(헤), ו(와우), ז(자인), ח(헤트), ט(테트), י(요드), כ(캅), ל(라멛), מ(멤), נ(눈), ס(사멕), ע(아인), פ(페), צ(차데), ק(코프), ר(레쉬), שׂ(신), שׁ(쉰), ת(타우)

예를 들어

ב(베이트)면 음가인 ‘ㅂ’를 넣어서 “바~, 바~, 바(짧게 단모음), 바(더짧게, 반모음)

지금까지 히브리어 모음에 영어 음가를 알아 보았다. 그리고 이 모음들을 어떻게 발음하는가

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다음 시간에는 모음의 명칭(이름)에 대해서 알아 보자.

히브리어 기초 – 모음 #03

오늘 살펴볼 히브리어 기초는 히브리어 모임입니다.

* 히브리어 모음은 크게 2가지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1) 이미 2번에 걸쳐서 알파벳을 소개했는데요. 이 알파벳들 중에 모음으로 활용되는 글자들이 있습니다.

2) 알파벳 아래나 위에 점이나 기호들을 사용해서 모음을 읽을수 있게 도와줍니다.

특히 이 모음을 이해하려면 먼저 간단히 히브리어의 역사를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1. BC 10세기경의 히브리어는 ּ알파벳만을 가지고 쓰여졌습니다.

다시 말하면 모음기호가 없었습니다. 자음으로만 이루어진 글자였죠. 당연히(?) 자음으로만 이루어진 글자는 외부인이 보면 읽기가 어려웠겠죠. 그래서 여기에 모음 글자들을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그 단계들이 히브리어 모음의 발전의 역사입니다.

예를 들면, 이렇게 주로 3글자 자음으로 단어가 만들어졌는데 모음은 구전을 중심으로 공용되었을 것입니다.

אמר 아마르, 말하다

2. BC 9-6세기에는 단어의 끝에 모음 알파벳들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표현했습니다.

이때 사용된 모음 알파벳이 י (요오드), ו (바브), ה (헤) 입니다.

י (요오드 yod)는 “이” 발음을 담당하고, (-i)

ו (바브 vav)는 “우” 발음을 나타내고, (-u)

ה (헤 heh)는 “아, 에, 오” 발음을 나타내는데 사용되었습니다. (-ah, -eh, -oh)

3. 이후에 BC 586년에 남유다가 바벨론에 멸망한 이후에 다시한번 변화가 찾아옵니다.

– 이제는 모음 글자였던 י (요오드), ו (바브), ה (헤) 가 단어의 끝에만 오는게 아니라 단어들 사이에도 들어갑니다.

– 그리고 표현하던 모음이 좀더 확장되었습니다.

י (요오드 yod)는 “이”(-i) 발음과 더불어 “에”(-e) 발음을 나타낼수 있고,

ו (바브 vav)는 “우”(-u) 발음과 더불어 “오”(-o) 발음을 표현하게 되었습니다.

ה (헤 heh)는 기존처럼 “아, 에, 오” 발음을 나타내는데 사용되었습니다. (-ah, -eh, -oh)

2번과 3번의 방법을 마소라 텍스트 라고도 하는데요.

Matres lectionis 매트레스 렉시오니스.. reading mother라는 뜻입니다. 1번으로 기록된 성경을 잘 읽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자음 기호들을 모음 기호로 활용한 것이지요.

여기까지가 구약 성경에 쓰인 히브리어 모음 표기 방법입니다.

눈치 빠른 분들은 벌써 아셨을수도 있는데요, 바로 성경 기록 연대에 따라 표기 방식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 성경기록연대라는게 초기 원본은 아니고, 성경이 사본으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입니다. 언제 만든 사본인가를 판별하는 기준이 될수 있다는 거죠.

하지만, 히브리어 모음의 발전은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4. 이후에 7-9세기에 히브리어의 모음을 음절마다 붙이게 됩니다.

멤מ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이런 식으로 표현이 됩니다.

מָ 마(ma), מַ 마(ma), מֵ 메(me), מֶ 메(me), מֻ 무(mu), מֹ 모(mo), מִ 미(mi)

그동안에는 히브리어 성경을 옮겨적던 이들이 구전으로 전해지던 읽는 법이 잊혀질 것을 염려하여 고안한 방법이라고 하는데요. 하지만 이때 기존에 기록된 matres lectionis 방식으로 표기된 부분을 없애지 않고 추가하는 방식으로 기록했습니다. 그래서 크게 3가지 방식의 모음이 함께 어울러져 있는 것이 구약성경 히브리어 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교제들은 발음 기호를 라틴어 표기 방식으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아a 발음을 기준으로 짧은 데서 긴 발음 순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מַ 마(ma) 발음(a짧은)이 나는 기호는 phata 파타 라고 합니다.

מָ 마(ma) 발음(a긴)이 나는 기호는 qamats 카마츠 라고 합니다.

מָה 마(mah)는 발음이 긴 -ah이고, qamats male카마츠 말레 라고 합니다. (앞서 말했던 ה를 사용한 것으로 matres lectionis입니다)

에e 발음을 기준으로 짧은데서 긴 발음 순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מֶ 메(me)는 발음(e짧은)이 나는 기호이고, segol세골 이라고 합니다.

מֵ 메(me)는 발음(e긴)이 나는 기호이고, tsere째레 라고 합니다.

מֶה 메(meh)는 발음(-eh긴)이 나는 기호이고, segol male세골 말레 라고 합니다. (앞서 말했던 ה를 사용한 것으로 matres lectionis입니다)

מֶי 메(me)는 발음(-e– 긴)이 나는 기호이고, segol male세골 말레 라고 합니다.(마찬가지로 ה를 사용한 것으로 matres lectionis입니다)

מֵה 메(meh)는 발음(-eh긴)이 나고, tsere male 째레 말레 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ה를 사용한 것으로 matres lectionis입니다)

מֵי 메(me)는 발음(-e- 긴)이 나는 기호이고, tsere male 째레 말레 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ה를 사용한 것으로 matres lectionis입니다)

이 i 발음은 히릭, 히릭 말레가 있습니다.

מִ 미(mi) 는 발음 (i 짧은)이 나고, hiriq히릭 이라고 합니다.

여기에 matres lectionis를 사용하면 מִי 미(mi) 가 되고, 발음은 (-i-)가 되고, hiriq male 히릭 말레 가 됩니다.

오 o 발음은 홀렘, 홀렘 말레가 있습니다.

מֹ 모(mo)는 발음(-o-)이 나고, holem 홀렘이라고 부릅니다.

여기에 matres lectionis를 사용하면, מֹה 모(moh), מוֹ 모(mo)가 되고, 이를 holem male, 홀렘 말레라고 부릅니다.

우 u 발음은, 키부츠, 슈렉이 있습니다.

מֻ 무(mu)는 발음(-u)로 boot 에서 oo 부분에 해당하는 짧은 u 발음이 납니다.

מוּ 무(mu)는 발음(-u)로 긴 u 발음이 납니다.

*maters lectionis로 사용된 ו 바브가 특이한데, וּ점을 아래로 찍으면 우(u)발음이 나고, וֹ 점을 위로 찍으면 오(o) 발음이 납니다.

정리.

1) 모음은 구전되던 것을 시간이 지나면서 자음기호들을 활용한 matres lectionis 와 자음 글자 주변에 점이나 선을 그어 나타내는 발음 기호들로 표현된다.

2) 장, 단 모음의 차이는 있지만, 거의 구별되지 않는다.(억지로 길고,짧게 발음하려고 할 필요는? 없다) 다만 이 장단 모음의 차이는 히브리어가 보이는 변화형에 문법적인 설명을 할수 있게 해주므로 알고 있어야한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히브리어(히브리어: עִבְרִית 이브맅 , 영어: Hebrew Language, 문화어: 히브라이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셈어파로 분류되는 언어이다. 고대 가나안 지방에 살고 있었던 히브리인(유대인)의 모어로서 사용되었던 고전 히브리어로 성경의 원본인 구약성경이 저술되었기 때문에 성서 히브리어라고도 불리며, 현재 이스라엘의 공용어인 현대 히브리어가 있다. 현대 히브리어는 ‘이브리트'(Ivrith)라고 불리며, 고대의 구약성경에 쓰였던 히브리어는 ‘성스러운 말’이라는 뜻의 ‘라숀 하-코데쉬'(לשון הקודש Lashon Ha-Kodesh )라 일컬어진다.

고전 히브리어는 유대인들이 세계 각지로 분산되기(디아스포라) 전부터 서서히 쓰이지 않게 되어, 이후의 시대에 각 지역에 분산된 유대인들은, 대신에 아랍어, 라디노어, 이디시어 등의 언어들을 일상언어로 사용하였다. 이 때문에 히브리어는 2000여 년 이상 유대교의 언어로서의 성경(타나크)이나 미쉬나 등의 연구, 종교의식, 기도, 또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서로 떨어진 유대인 공동체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에서나 사용되었을 뿐이었다. 그러나, 20세기에 접어들어, 히브리어는 이스라엘의 건국과 함께 현대 히브리어로 다시 살아나게 되어, 현재 이스라엘로 이주하여 오는 유대인들의 언어로서 자리잡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히브리어를 일컫는 데 사용되는 이브리(עברי)라는 말은, 창세기 10장 21절에 언급되는 ‘강을 건너다’라는 뜻을 가진 셈의 후손 에벨(עֵבֶר)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기원전 3000년경, 갈대아 지방의 우르(현재의 텔 무가이어, 이라크 지역)에서 가나안 땅(현재의 이스라엘 지역)으로 이주했다고 하는 아브라함 일족과, 그 자손들을 이르러 ‘헤브루인’이라 한 것에서,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헤브루어’, ‘히브리’어 등으로 부르게 된 것이다.

히브리 문자는 아랍 문자와 비슷하게, 문장을 쓸 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자음을 나타내는 표기는 반드시 존재하나,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는 없는 경우가 많다. ‘니쿠드[1]’라는 이름의 모음 기호는 존재하고 있으나 이 기호는 일반적인 경우 생략되며, 외래어 표기나 성서 등의 중요한 글에서 매우 정확히 표기할 필요가 있는 경우나, 히브리어 초급 교과서에서 히브리어를 표기하는 경우 정도에나 쓰인다.

히브리어에는 아랍어에서 온 차용어가 상당수 있으나, 그 형태가 달라져서 원래와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다.

히브리어의 뜻과 유래 [ 원본 편집 ]

고대 서양에서 히브리어는 약 3300년 전 유대인, 즉 히브리인이 쓰던 말을 뜻하였다. 유대인의 말은 그들이 믿는 유대교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 히브리어는 유대교의 경전 토라에 쓰인 언어이기 때문이다. 구약성서에서는 유대인이 쓰는 말을 ‘가나안의 말(이사야 19,18)’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더러는 셈족의 말을 민족의 이름을 따서 유대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현대 히브리어의 음운 체계 [ 원본 편집 ]

닿소리 [ 원본 편집 ]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구개수음 성문음 비음 m n 파열음 p b t d k ɡ ʔ 파찰음 ts (tʃ) 마찰음 f v s z ʃ x r h 유음 l 반모음 j

홀소리 [ 원본 편집 ]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i u 중모음 e o 저모음 a

히브리어의 문자 [ 원본 편집 ]

문자 (자모) [ 원본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히브리 문자 입니다.

히브리어의 문자는 다음과 같다. 일부 문자는 단어의 끝에서는 다른 모양을 가지며 원래 모양의 밑에 따로 나타냈다.

알레프 Alef 베트 Bet 기멜 Gimel 달레트Dalet 헤 He 바브 Vav 자인 Zayin 헤트 Het 테트 Tet 요드 Yod 카프 Kaf א א ב ב ג ג ד ד ה ה ו ו ז ז ח ח ט ט י י כ כ ך ך 라메드 Lamed 멤 Mem 눈 Nun 사메크Samekh 아인 Ayin 페 Pe 차데 Tsadi 코프 Qof 레시 Resh 쉰 Shin 타브 Tav ל ל מ מ נ נ ס ס ע ע פ פ צ צ ק ק ר ר ש ש ת ת ם ם ן ן ף ף ץ ץ

히브리어 모음 [ 원본 편집 ]

히브리어 문자는 원래 모음이 없는 자음만으로 구성된 문자였다. 고대 유대인들은 모음 없이 자음만으로 글을 썼고, 타나크의 내용을 거의 암기하여 그것을 구전으로 후세에 전해주었다. 그러다 시간이 흐르면서 히브리어는 점차 잊혀졌고, 아람어가 통용되면서 히브리어가 사어(死語)가 되자, 7세기에 ‘마소라 학자’들이 자음만 있던 히브리어 문자 표기에 모음을 추가해 달기 시작했다.

각주 [ 원본 편집 ]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히브리어 모음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성경 히브리어 모음, 히브리어 자음 모음, 히브리어 알파벳 모음, 히브리어 단어, 히브리어 읽는 법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