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운성 개념 정리> 십이운성이란?
십이운성에 대해서는 여러편의 시리즈에 걸쳐 다룰 생각입니다. 다양한 각도에서 십이운성을 살펴보는 시간 중 이번엔 먼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오늘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 그리고 내일부터 12일 동안 십이운성 각 단계에 따른 특성을 정리하겠습니다.
십이운성이란?
십이운성은 천간이 어떤 특정 지지와 만났을 때 어떤 세력(에너지)을 가지느냐를 따지는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기준이 천간이고, 하나의 천간은 어떤 지지를 만날때마다 지지에 따라 다른 세력(에너지)을 가지게 됩니다. 지지가 12개니까 각 천간마다 총 12개의 세력(에너지)를 가지게 됩니다. 12개이니까 십이운성(十二運星)이라고 명명합니다.
갑목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갑목과 해수의 오행상의 관계는 해수가 갑목을 生 해주고 있는 관계입니다. 갑목 입장에서는 生(도움) 받고 있는 것입니다.
이를 십신(육친)으로 설명하면, 갑목 입장에서 해수는 인성 중에서도 편인에 해당합니다. 해수가 갑목을 生(도움)해 주므로 인성, 둘의 음양이 같으므로 편인입니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간 것이 바로 십이운성입니다. 갑목-해수에 해당하는 십이운성은 장생(長生)입니다.
즉, 갑목은 해수(亥)를 만났을 때, 장생이라는 세력을 가지게 된다는 이야기 입니다.
십이운성의 세력(에너지)의 흐름
십이운성은 생명의 변화과정을 12단계로 나눠 나타낸 것입니다. 계절로 따지면 춘하추동, 인간사로 따지면 생로병사 정도가 될 수 있습니다.
십이운성의 주체는 천간이므로 각각의 천간이 만나는 지지에 따라 춘하추동, 혹은 인간의 생로병사에 해당하는 하나의 에너지를 가진다는 것입니다.
즉, 십이운성 이론은 천간의 에너지를 인간사의 각 단계에 대입하여 설명하려 한 이론입니다.
다른 식으로 표현하자면 천간이 인간사(자연) 속에서 실현되는 양상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습니다. 하늘에 순수무구하게 떠있던 천간이 인간사로 내려오면서 어떤 운동방식을 보이는가 라고도 말할 수 있겠습니다.
나무가 땅에 내려오면 어떤 방식으로 실현되는가? 나무는 언제 태어나고 언제 죽는가? 하늘의 쇠(金) 기운은 땅에 내려오면 언제 병이들고 언제 죽는가? 丙(병화)는 땅에 내려오면 언제 왕성해지고 언제 쇠약해지는가를 연구한 것이 바로 십이운성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갑목은 해수를 만나면 장생의 세력을 가집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언급하겠지만 “장생”은 생명이 막 태어나는 단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천간의 갑목은 지지 해수를 만날 때 “막 태어나는 출생의 에너지”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십이운성의 세력(에너지)의 세기
다음 포스팅에서 십이운성 각각의 단계에 대해 차례차례 포스팅 할 예정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십이운성의 각 단계의 세력의 세기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겠습니다.
갓 태어난 아기는 힘의 세기가 작고 중장년은 힘의 세기가 가장 셉니다. 노년으로 가면 힘이 쇠약해 집니다. 따라서 인간사, “생로병사”, “생왕묘절”을 의미하는 십이운성의 힘의 세기는 인간사 각 단계에 따라 “왕(旺), 중, 약” 구분할 수 있습니다.
“세기가 센 것은 좋은 것이고, 약한 것은 안좋은 것이다?” 혹은 “왕(旺)한 것이 좋은 것이고, 중이나 약한 것은 좋지 않은 것이다.”고 생각하는 것은 동양 철학의 기본 개념 자체를 이해하지 못한 서양식 이분법적 사고의 결과입니다.
더 나아가 “음은 나쁘고 양은 좋다? 어둠은 물리쳐야 하고 해는 숭상해야 한다. 남자는 하늘이고 여자는 땅이니 여자가 꿇어라?” 하는 등의 소리는 못 배우고, 잘못 배운 사람들이 하는 소리입니다.
온전히 좋은 것도 없고, 온전히 나쁜 것도 없으며, 영원히 좋은 것 나쁜 것도 없는 것이 우주의 질서입니다.
달의 변화를 보고, 태극기의 태극 모양만 보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강한 것은 약해지고, 약한 것은 강해집니다. 극에 차면 바뀌고, 에너지는 돌고 돌며, 서로가 서로를 의지하여 꼬리를 물고 살아가는 것이 우주의 섭리이자 자연의 이치입니다.
마찬가지 십이운성의 이 힘의 세기도 인간사 각 단계의 특성을 표현하는 것일뿐 가치의 판단의 기준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강하다고 좋은 것이 아닙니다. 약하다고 나쁜 것도 아닙니다.
십이운성 각 단계 개요
각 단계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한 설명이 이어집니다. 여기서는 간단하게만 정리하겠습니다.
장생(長生) : 처음 울음을 터뜨림, 자기 존재를 드러냄
목욕(沐浴) : 갓 출생한 아이를 씻긴다. 갇혀있다가 활발하게 빠져나옴.
관대(冠帶) : 자기 색깔이 드러남. 청년기에 접어듦.
건록(乾祿) : 부모를 떠나 독립함. 자기의 뜻을 실현함.
제왕(帝旺) : 삶의 진정한 주인이 됨. 양보하지 않는 기운.
쇠(衰) : 겉은 왕성하지만 속으론 기운이 약해짐.
병(病) : 힘을 모두 씀. 병이 든 것 같은 쇠약.
사(死) : 죽은 것으로 간주해도 좋을 정도로 힘.
묘(墓) : 운동을 멈춘 상태. 묘에 들어감.
절(絶) : 모든 것이 사라짐. 절단.
태(胎) : 형태는 없으나 존재의 시작. 잉태.
양(養) : 어머니의 뱃속. 존재의 확인.
십이운성 표
10개의 천간에 해당하는 십이운성을 정리한 표입니다. 천간과 지지의 조합에 해당하는 십이운성을 찾으면 됩니다.
<<참고자료>>
『명리 기본편, 심화편』강헌,
『라디오좌파명리』팟캐스트 방송,
『좌파명리학』벙커1 동영상 강좌 강의,
『춘하추동신사주학 春』박청화,
네이버제공『역학사전』노영준.
위키백과
사주를 알아보기 전에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십이운성(十二運星)은 천간(天干), 지지(地支)의 상호작용 관계를 표현하는 것으로 탄생과 죽음의 단계를 열두 개로 나눈다.
쉽게 설명하면 10개의 천간이 12개의 지지와 만났을 때 얻을 수 있는 에너지와 상황을 확인하는 것으로 사람의 생로병사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인간은 태어날 때 모두 다른 사주팔자를 가지고 나오는데 이에 따라서 누군가는 가난하고 힘들게 살지만 부귀영화를 누리며 태평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도 있다.
하늘과 땅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사주, 십이운성으로 나타나지만 해석이 좋지 않다면 단순한 미신으로 웃어넘기셨으면 좋겠다.
1. 개요
12운성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한 사람이 인생을 살아가면서 모든 십이운성을 겪을 수는 없으며 평생 잘나가거나 반대로 암울한 시기만 겪을지도 모른다.
장생(生) 새로 태어나는 시기로 때묻지 않아서 깨끗하다. 목욕(浴) 태어난 아기를 물로 씻기는 것으로 욕심이 많다. 관대(帶) 성인이 되어가는 시기로 관직에 오를 준비를 한다. 건록(祿) 사회에 진출하여 녹봉을 받으며 부모에게 독립한다. 제왕(旺) 인생의 최고 정점으로 올라가려는 힘이 강하다. 쇠(衰) 힘이 절정에 다다른 이후 점차 약해지는 구간이다. 병(病) 모든 기력을 소진하고 쇠약해지기 때문에 힘이 약하다. 사(死) 생명이 끝나는 시기로 죽음을 의미하니 좋지 않다. 묘(墓) 관속에 들어가는 것으로 평온하며 재물을 축척한다. 절(絶) 영혼이 육체를 떠나니 모든 것이 완전히 차단된다. 태(胎) 다시 잉태되어 어머니의 뱃속에서 보호를 받는다. 양(養) 어머니 뱃속에서 열 달 동안 새로운 인생을 준비한다.
그렇다면 어떤 구간에서 가장 큰 힘을 발휘할까?
왕(旺) 장생 · 관대 · 건록 · 제왕 중(中) 목욕 · 묘 · 태 · 양 약(弱) 쇠 · 병 · 사 · 절
갓 태어난 이후부터, 중 · 장년까지의 힘이 매우 강하며 이후 나이가 들수록 약해지기 시작하는데 이를 왕, 중, 약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4왕은 기세가 강하고, 4쇠는 약하지만 사주의 구성에 따라서 에너지가 높다고 좋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각 단계의 특성에 따라서 올바른 풀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죽어서 묘지에 묻히는 묘(墓)의 경우 부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두뇌회전이 빠르고 재물을 축척하는 것으로 심리적인 평온을 의미한다.
목욕(浴) 역시 중간 정도의 기운을 가지면서 깨끗하고 순수함을 의미하지만 방탕한 생활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거나 이성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2. 도표
아래 표를 통해 천간과 지지에 해당하는 십이운성을 찾을 수 있다.
12운성 도표
12운성은 사주에 대입하여 자신의 대운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며 일주에서는 육친에 대입해서 가족의 운까지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넓은 편이다.
3. 풀이
과거에는 남자는 돈을 벌고 여자는 가정을 돌봐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었기 때문에 십이운성 건록과 제왕은 남자는 (길), 여자는 (흉)으로 풀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사회적인 인식이 바뀌고 있으며 사주원국의 구성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잘 판단하셔서 해석하시길 바랍니다.